연예이슈

중국 딥페이크 아이유 진실은? (+실제 악용된 사례)

알 수 없는 사용자 2021. 1. 26. 10:42
반응형
오늘은 중국에서 아주 핫한 차이유라는 사람을 들어보신 적 있나요?

차이유는 아이유와 얼굴이 너무 닮아 중국의 아이유라고 차이유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 같은데요. 실제 영상으로 보면 정말 닮았습니다.

심지어 저는 누가 아이유가 누가 차이유인지 너무 헷갈리는데요.
여러분은 어떻나요? 엄청 닮았죠?

자 하지만 이 얼굴이 본인의 얼굴이 아니라고 한다면 여러분은 믿기 시나요?

만약 사진이라면 포토샵으로 연예인의 얼굴은 물론 자기가 원하는 모습으로 보정이 가능한데요. 영상 역시 요즘 급격한 발달로 동영상 보정이라는 것도 가능해지긴 했지만, 사진 보장보다는 좀 부자연스럽거나, 자기가 원하는 모습으로 보정이 어려운 편이죠.
 

이렇게 차이유로서 많은 네티즌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었지만, 한 네티즌의 차이유의 실제 모습을 공개하면서 큰 이슈를 불러 모았는데요.

그녀의 실제 모습은 정말 평범한 여성의 모습이었는데요. 아이유와는 전혀 닮지 않은.. 그냥 평범한 보통의 여성이라 큰 이슈를 모은 게 아닐지 싶어요.
 

자 그럼 그녀는 무엇을 사용하여 평범한 모습을 아이유로 만든 걸까요?

바로바로 딥페이크라는 기술인데요.

딥페이크란?

딥페이크 기술은 인공지능이 개발되면서 나온 기술로 기존 인물의 얼굴이나 특정 부위를 영화 CG 처리처럼 합성한 영상 편집 몰이라고 하면 되겠네요.

와우 요즘 정말 인공지능 발달이 정말 빠른 것 같은데요. 실제로 영상을 보면서 이 모습이 편집된 영상이라는 느낌을 전혀 받지 않아서 더 큰 충격을 주고 있는 것 같습니다.
실제 인물과 딥페이크로 만들어진 인물을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정교하게 얼굴을 바꾸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 정말 놀랍습니다.

그럼 어떤 어플을 사용한 걸까요?

바로 ZAO라는 편집 어플을 사용한 것 같은데요.
사용자의 얼굴을 영화나 드라마 속의 캐릭터의 얼굴과 감쪽같이 바꾸어주어 마릴린 먼로,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유덕화 등 유명인과 얼굴을 바꾸어주는 편집 영상입니다.

아마도 이런 어플을 사용하지 않았을까 싶네요.
하지만 이 자오 어플 역시 많은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데요. 한 중국 미디어가 자오 앱 개발사가 과도한 권한을 가지려는 조항이 약관에서 발견됐다고 알려주어 큰 충격에 빠트렸는데요.
사용자는 모든 콘텐츠에 대해서 영구적이고 자유로운 사용이 가능하며 양도할 수 있다라고 명시돼 있는 부분인데요. 하지만 이 부분은 2019년에 조항을 이미 변경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변경한 조항은 사용자가 사전에 동의한 이미지에 대해서만 사용 권한을 가질 것이며 프로그램 개선 목적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다고 하네요!
또한 사용자가 앱에서 삭제를 실행하면 서버에서도 자료를 삭제하겠다고 했지만, 전 여전히 불안한 마음이 드네요! 사용하는 건 각자의 선택이니 잘 고려해보세요!
 

또한 이 딥페이크 기술로 인해 다른 한편에서는 범죄에 악용될 우려가 있어, 걱정하는 네티즌들도 몇몇 보였는데요.

실제로 이 딥페이크 기술을 사용해 한국에서 악용된 사례가 있다고 합니다.

바로 연예인 등 유명인을 대상으로 한 딥페이크 음란물인데요.
딥페이크 기술이 고도화되며 현실과 구분이 힘들 정도로 자연스러운 영상 구현이 가능해짐에 따라 찾는 사람도 만드는 사람도 늘고 있다는 점인데요.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성적인 자극에 있어 리얼리티에 얼마나 근접하느냐에 따라 만족도가 달라지게 된다며 특이한 욕망이 있는 사람들은 영상 속 대상이 실존 연예인과 가까울수록 일탈적 욕망을 총 족할 수 있기 때문에 딥페이크 음란물을 계속 찾게 되는 것이라고 말을 했다고 하네요!

또한 이런 악의적인 목적을 갖고 불법 영상을 만드는 공급자들이 대다수에 있으며, 수요 역시 적지 않음을 나타냈는데요. 더 큰 문제는 온라인상에서 딥페이크 영상 제작 방법이 공유되고 무료로 합성해 준다거나 연습용으로 만들어 드린다는 게시물이 넘쳐나고 있는 것도 현재 시국이라고 하는데요.

한 심리 전문가는 딥페이크 불법 영상이 공급자나 수요자 간 커뮤니케이션 같은 역할을 하게 되면서 쉽게 만들고 보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며 특히 낮은 연령층에서 문제의식 없이 영상을 만들고 유포하는 경향이 짙은 걸로 나타나 더 큰 우려의 목소리들이 있었습니다.

이와 같이 인공지능 발달이 빨라짐과 정교해져가 실제로 이를 악용하는 사례들도 찾아볼 수 있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