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이슈

시진핑 공산당 비판글 올리면 사실상 징역인 국가 (+부자도 예외 무 )

알 수 없는 사용자 2021. 2. 1. 16:16
반응형

중국 정부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해 시진핑 주석과 그의 정부를 비판만 국민들을 엄격히 통제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죠.

실제로 29일 월스트리트저널은 한 중국 연구원의 조사 결과를 인용해 중국 정부는 지난 3년간 중국에서 차단된 SNS 사용 혐의로 50명이 넘는 사람에게 징역형을 선고했다고 알려주었는데요.
 

출처- 연합뉴스

중국 정부는 주로 트위터와 페이스북, 유투브 등에 올라온 게시물을 문제 삼았고, 위챗, 웨이보 QQ 등 중국 플랫폼 이용자 20여명도 실형을 선고 받았다고 WSJ는 전했습니다.

예를 들면;

중국 톈진의 저우샤오칭은 지난해 2월 트위터에 중국 공산당 체제는 안정을 원칙으로 하고 큰 문제에 직면했을 때 모두가 스스로를 보호한다 병원 및 보건 관계자는 고의적이든 아니든 모두 확진자 수를 줄일 것이라는 내용 등을 올렸다고 전해졌습니다.

같은 달 저우씨 집으로 전염병 통제 관련 자원봉사자라고 밝힌 남성들이 찾아왔고, 그가 문을 열자 공안 7명이 몰려와 그를 힘으로 제압해 체보 하였는데요.

저우씨는 법원에서 팔로워가 300명밖에 되지 않는다고 했지만 법원은 지난해 11월 사회 질서를 심각하게 훼손했다며 9개월 징역형을 선고 한 바 있죠.

사례2

또한 미국 대학을 다니는 한 중국 유학생이 미국에서 트위터에 시진핑 중꾹 국가주석을 풍자하는 그림을 올렸다는 혐의로 중국 법원으로부터 징역형을 선고 받기도 하였죠.

중국 법원이 지난해 11 5일 미네소타대 재학생인 뤄다이칭에게 그가 2018 10 11월 트이워테 시 주석과 닮은 애니메이션 캐릭터 그림과 시주석을 비하하는 댓글 40여개를 게재한 혐의로 징역 6개월을 선고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사례 3

중국 정저우 쑨자둥(41) 2019 10월 중국 관영 매체 기사를 트윗한 뒤 홍콩에 영광을, 공산당 강도들이 부끄럽다라는 게시물을 올린 그는 홍콩과 대만, 신장위구르 등에 대한 허위 사실을 유포한 혐의로 공안에 붙잡혔고 그해 12월 법원에서 13개월의 징역형을 선고 받았는데요. 그 당시 그의 트위터 팔로워는 고작 27명뿐이었습니다.

사례 4

또한 런즈창은 시주석을 비판하는 글을 쓴 직후인 올해 3월에 실종되기도 했었는데요.
시진핑은 중국 국가주석을 노골적으로 비난했다가 실종됐던 중국 부동산 재벌이 부패 혐의로 징역 18년을 선고 받았습니다.

이분은 무려 18년이네요... 관영매체 환구시보는 베이징 제2중급인민법원이 런즈창에게 부패 뇌물 수수 공금 횡령 등의 혐의가 있다는 판결을 내렸다고 전해졌는데요.

법원은 징역 외에도 420만 위안 (한화 약 7 2000만원)의 벌금을 선고하기도 하였다고 합니다그가 쓴 글 내용중에는 시 부주석의 이름을 직접 언급하지 않았지만, 나도 호기심을 갖고 양심적으로 연설문을 보고 있는데 내 눈에는 새옷을 선보이는 황제가 아니라 벌거벗은 채 자신을 황제라 부르는 광대만 보였다 ,

중국공산당 내 통치의 위기가 드러났다면서 언론의 표현의 자유가 없다 보니 코로나 19를 조기에 통제하지 못하고 상황이 악화 됐다고 주장하였습니다.

과거에는 외국 SNS를 이용해 중국 당국에 반대하는 내용을 올릴 경우 대부분 구금과 괴롭힘 등으로 끝났지만, 현재는 그저 괴롭힘 정도가 아니라는 점을 유의해 볼 수 있는데요.

또한 최극 법원을 통한 징역형 증가는 중국이 국내뿐 아니라 해외 인터넷에서도 여론을 통제하고 비판을 억누르려는 조치를 확대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현재에도 시진핑 주석을 비판하는 글만 보인다 하면 언론을 통제하고, 징역형을 내린다는 사실이 놀라운데요.

실제 한국 TV나 뉴스에서 중국사람들에게 인터뷰를 하면 대부분 사람들이 모두 시진핑을 찬양하는데요. 아마도 자기도 저렇게 될까 두려워 그러지 않았나 싶습니다.
 

이에 비디오 공유 플랫폼 앱 틱톡을 만든 중국 회사 바이트댄스에서 근무했던 저우씨는 지난 2018년 정부는 틱톡에서 정치적으로 민감하고 외설적인 자료를 삭제하곤 했다며 중국의 인터넷 규제 당국의 내부 지침에 따라 바이트댄스는 온라인 플랫폼을 검사하는 대규모 콘텐츠 진행자 팀을 운영하고 있다고 폭로하기도 하였는데요.
 

이렇게 철저하게 언론을 통제한다면, 굳이 인터넷은 없어도 될 것 같다라는 생각이 드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