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중국에서 매우 유명한 90后 지우링허우에 대해 알아볼까 해요!기성세대와 차별된 성장 배경과 사고방식으로 사회의 관심을 한 몸에 받았던 시대이기도 하죠.
이런 시대에서 살았던 그들이 이제 20대를 중후반을 차지하고 있죠.
측정된 인구만 약 1억 7400만 명으로, 생산 가능 인구의 약 29.5%를 차지하는 만큼 이들을 대상으로 한 분석하는 글들이 많이 나오고 있죠.그럼 왜 그럴까요?
개형 개방 초기이던 1980년대 중국에는 배급표 방식이 아직 남아있어 소비에 제한이 따랐었죠.
하지만 1993년 중국 정부가 배급표 발급을 중단하면서 사람들은 점차 자유로운 소비 활동이 가능해짐에 따라, 90년대에 태어난 중국인들은 그전 세대보다는 선택의 폭이 넓은 시대에 자라게 된 거죠.
또한 1980년부터 채택한 한 자녀 정책에 의해 대부분 외동으로 아주 귀하게 자랐다는 사실까지 더해지면이 친구들은 자신의 의견을 중요시하고 인생을 즐기는 소비문화, 과감히 나를 표현할 수 있게 된 거죠.
이런 산아제한 정책이 시행된 이후 80~90년대에 태어난 아이들은 4명의 조부모와 2명의 부모가 한 아이에게 매달려 사는 소위 4-2-1 증후군 때문에 가정에서 어른들의 과보호와 맹목적 사랑을 누리며 자랐죠.
이러한 환경 속에서 자라난 자녀들을 가리켜 남아는 소황제, 여아는 소 공주라는 별칭이 생기기도 했다는 건데요.
그러므로 지우링(90년대) 세대는 중국이 개혁, 개방으로 경제적인 부를 이루며 급속도로 성장해 가던 시기에 태어나 어려서부터 소비에 익숙한 세대로, 집단적이고도 고가 위주의 소비 행태를 보여 향후 중국의 국외 관광과 쇼핑 관광을 주도할 핵심 계층으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실제로 제 또래 중국 친구들은 소비 습관이 정말 남다르긴 했었습니다!
喜欢就买라는 말을 입에 달고 살긴 했었죠! 좋아하면 바로 사! 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요.
본인이 가지고 싶은 것이 있으면 고민보단 그냥 무조건 사버리는 소비 습관이 있었죠.앞서 말했듯이 지우링 세대는 태어나는 순간부터 이미 물질적 풍요로움 속에서 자라왔기 때문인데요. 이런 환경에 이미 익숙해진 그들이라 가격이 저렴한 것을 선택하기보다는 자신의 편리함에 따라 소비를 하는 습관도 보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지우링 세대는 끌리면 사는 충동구매형 소비 습관을 가졌다는 인식도 매우 강했는데요. 새로운 것과 유행을 추구하며, 특이한 것에 강한 관심을 보이는 지우링세대, 이제는 경제의 주축이 되어버렸다고 합니다.
중국 소비 경제의 주축이 된 이들을 타깃으로 관련 마케팅 역시 쏟아져 나오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하지만 어느덧 20대 중후반이 되어버린 지우링 세대는 더 이상 충동구매를 하지 않죠.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유명 연예인이 광고하기만 하면 매출이 올랐는데, 이젠 그렇지도 않다며 똑똑한 소비자가 된 현대의 지우링허우를 잡으려면 품질과 가성비 두 가지 모두를 충족시켜야 한다고 알려주는데요.
또한 지우링 세대는 오프라인 쇼핑보다는 온라인 쇼핑을 더 선호하는 추세이죠.
실제로 한국 역시 오프라인 쇼핑보단 온라인 쇼핑을 더 선호하는 거와 비슷할 것 같은데요.
또한 빠른 결제, 빠른 배송, 빠른 주문을 원하는 세대이기도 합니다. 지금 세대는 거의 한국인과 다를 것이 없는 것 같은데요.
또한 저축보다 과소비를 자주 하는 탓에 욜로를 뜻하는 월광족(月光族)이라는 말이 90년생에 의해 처음 탄생하게 되기도 하였죠. 또한 인터넷 SNS, 드라마로 인해 다른 사람에게 보이는 것을 의식하기 시작한 이들은 자신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의류와 화장품, 몸매 관리를 위한 헬스에 투자를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여행을 다니는 것에도 아주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기도 했죠.
노는 것 역시 너무 좋아하는 세대로 이 시점을 통해 클럽 문화가 매우 발달하게 되기도 하였죠. 또한 예전엔 중국인 여자분들은 술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라는 인식이 강했다면, 현재는 여자분들 역시 가볍게 마실 수 있는 주류들을 선호하기도 한다고 하네요.
지금 코로나 때문에 모든 나라에서 경제적 타격에 힘들어하는 반면, 중국은 오히려 소비활동이 증가하기도 하였는데요. 아마도 지우링 세대의 소비 심리의 영향도 보인다는 전문가들의 말도 있었습니다. 이렇듯 중국인들도 예전과는 다른 사고방식으로 점점 달라지지 않을까 싶네요!
'사회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취업성공패키지 1유형 (+지원대상, 구비서류) (0) | 2021.01.26 |
---|---|
이번엔 인도마저 중국 때리기? (+중국 간판 앱 퇴출) (0) | 2021.01.26 |
청년취업 아카데미란? (+신청방법, 지원대상) (0) | 2021.01.26 |
국민내일배움카드 자격 및 신청방법은? (0) | 2021.01.26 |
'소상공인 버팀목자금' 추가지급! 소상공인 버팀목자금 온라인 신청 방법 (0) | 2021.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