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이슈

중국에겐 약속은 아무 의미가 없다?

알 수 없는 사용자 2021. 3. 19. 12:35
반응형
미국 vs 중국

알래스카에서 열린 미국과 중국의 회담은 미국 측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과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 안보보좌관, 중국 측 양제츠 공산당 외교 담당 정치 국원과 왕이 중국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알래스카 앵커리지에서 2+2 회담을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만남은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 후 미중 간 첫 고위급 대면 회의로, 바이든 행정부의 미중 관계 풍향계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블링컨 장관은 미국이 규칙에 기초한 질서 강화에 전념하고 있다며, 중국의 행동이 글로벌 안정성을 유지하는 규칙에 기초한 질서를 위협한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미국은 시장 지역을 포함해 중국의 행동에 대한 깊은 우려를 논의할 것이라며 홍콩, 대만, 미국에 대한 사이버 공격, 동맹을 향한 경제적 강압이 대화에 오를 것이라고 압박했습니다.
 
이에 양제츠 정치국원은 미국이 다른 나라를 압박하기 위해 군사력과 금융의 우위를 활용한다면서, 신장과 홍콩, 대만은 모두 분리할 수 없는 중국의 영토라며 중국은 미국의 내정 간섭을 단호히 반대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의 인권이 최저 수준에 있고, 미국에서 흑인이 학살당하고 있다고 거친 표현까지 사용하며 미국이 인권을 개선해야 한다는 취지로 반격했습니다.
 
왕이 부장은 미국이 최근 중국 통신회사에 추가 제재를 발표한 것을 두고도, 중국 대표단이 미국의 초청으로 미국에 왔다면서 새로운 제재를 발표하는 것은 손님을 환영하는 방법이 아니라며 불쾌감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2+2회의 북한
비핵화 우선

한국과 미국의 외교 안보 수장이 참여하는 2+2회의에서 북한 비핵화가 우선 관심사라는 점을 확인하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긴밀히 공조하기로 했습니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과 서욱 국방부 장관, 미국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은 18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2+2회의를 열고 한미 동맹과 북핵을 포함한 한반도 문제, 지역 글로벌 이슈 등을 논의했습니다.
 
한미 2+2회의가 열린 것은 2016 10월 미국 워싱턴 회의 이후 5년만으로, 강화된 한미 동맹의 위상을 보여줬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한미 2+2회의 뒤 채택한 공동성명에서 양국 장관들은 북한 핵 탄도미사일 문제가 동맹의 우선 관심사임을 강조하고, 이 문제에 대처하고 해결한다는 공동의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