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가 주석 시진핑이2060년까지‘탄소 중립’을 실현하겠다고 공언한 가운데 중국이2025년까지 비화석 에너지 사용 비중을 현재의15%수준에서20%로 크게 끌어올리겠다는 공격적인 목표를 제시하였습니다.
중국 정부는 전국인민대표대회 연례 전체회의 개막일인5알 공개한14차5개년 계획 및2035년까지의 장기 목표 강요 초안에서2025년까지 비화석 에너지 비중을20%가량으로 높인다고 밝혔습니다.이는2020년 중국의 비화석 에너지 사용 비중15.3%보다 약5% P높은 수준이라고 합니다.
시장 조사업체IHS 마켓에따르면 중국은5개년 경제계획을 내놓을 때마다 비화석 에너지 사용 비중을3~4% P씩논평 왔다는 점에서 올해 목표는 예년보다 공격적인 것으로 평가된다고 알려졌습니다.
시 주석은 작년9월 유엔총회 연설에서 자국의 탄소 배출량이2030년까지 정점을 찍고 내려가2060년에는 탄소 중립을 실현하겠다는 야심 찬 목표를 제시한 바 있습니다.
세계 최대 온실가스 배출국인 중국
중국은 세계 최대 온실가스 배출국으로 국제사회에서는 중국이14·5계획이 적용되는2021∼2025년까지의 경제 청사진을 제시할 이번 전인대 전체회의를 통해 어떠한 구체적'액션 플랜'을 내놓을지에 관심이 쏠렸습니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비화석 에너지 사용 비중을 크게 높이기 위해 증설에 한계가 있는 수력 발전이나 안전성 우려가 지속되는 원자력 발전 대신 풍력·태양광 발전을 발전시키는 데 더욱 힘을 기울일 것이라는 관측이 고개를 들고 있고습니다.
궈타이쥔안(國泰君安)등 증권사는 산업 분야에서 앞으로5~10년은 탄소중립이 중요한 화두가 될 것으로 예상하며 철강 업계의 탄소 배출 비중이 높은 만큼,조강 생산 감축과 생산 구조조정은 피할 수 없는 추세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석탄 업계도 탄소중립 시행에 따라 석탄 사용 효율 개선과 생산 능력 감축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반도체와는 달리 매우 긍정적인 판단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또한 이를 반영하듯3일 중국 석탄공업 협회가 발표한 보고서에서 중국 정부가14차5개년 계획 기간5년 동안 연간 석탄 생산량을41억 톤으로,연간 석탄 소비량을42억 톤 안팎으로 통제할 것이라는 소식이 나왔습니다.
신다 증권은 석탄 업계가 현재 새로운 주가 상승 주기의 초입에 있다고 판단하며,펀더멘털,정책 등 측면에서 지금이 가장 좋은 시기라고 보고 있습니다.
탄소 중립 가능할까?
GDP가 계속 성장하는 과정 속에서 중국의 탄소 배출량은 증가했고,지난2019년 기준 전 세계의29%에 육박하는98억 톤의탄소를 배출했습니다.
기후 전문가들은 중국이2060년 탄소중립 목표를 충족하려면2025년까지 이를87억 5000만 톤으로줄이겠다는 등의 절대 상한선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블룸버그는5개년 계획은 석탄 사용을 줄이기 위한 확실한 목표를 제시하지 않고 있으며,이에 따라 중국은 석탄,석유와 같은 화석 연료의 생산을 계속할 것이라는 점을 우려했습니다.
가디언 상당수 전문가들은 중국의 목표 달성에 대해 회의적이라고 전하면서2030년이 탄소 배출 장점이면 너무 늦고,이를2025년까지 앞당겨야 한다 말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또 중국의 탄소 배출은 코로나바이러스 여파로 크게 줄었다가 제한이 풀리면서 급속도로 늘어나기도 했습니다.글로벌 에너지 모니터,그리고 청정대기연구센터(CREA)에 따르면 이 과정에서 중국은 오히려2년 전보다 더 많은 신규 석탄 발전소 인가를 낸 걸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또한 기후경제학자 니콜라스 스턴은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파리 기후변화협약목표치를 달성하려면 앞으로2년 정도안에 배출량이 감소해야 한다"면서"현실적으로 중국의 배기가스가 감소하기 시작하지 않는 한 그런 일은 일어날 수없다"라고언급한 부분을 유의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은 지난해 핵심 부품을 국산화한3세대 원전 가동에 성공하는 등 관련 기술 수준을 지속적으로 높여가고 있어,또 어떻게 될지는 모른다는 의견들이 분분합니다.
또한 중국은 원자력발전을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핵심 방안으로 지정하고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추세라고 밝혀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