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중고등학교 하면 떠오르는 것은 바로 체육복 교복이 아닐까 싶습니다.한국과는 달리 중국 학생들은 체육복을 입고 등교를 하는 하는 모습을 자주 목격할 수 있습니다. 중국 바이두에 따르면 상류층을 중심으로 일본의 영향을 받은 제복식 교복이 도입되어1920년대까지는 제복식 교복을 입었다는 전해집니다. 1930년대와1940년대에는 중국 전통 의상인 치파오를 변형한 형태의 교복이유행했었습니다.
1950년대에는 특정한 교복 형태가 사라지고 자유 복장이 대세를 이루었습니다.이후1970년대에는 군복을 교복 대용으로 삼았다고알려져 있습니다.개혁개방이 본격적으로 추진된1980년대의 경우 교복의 개념이 다시 등장하여 학교마다 서로 다른 교복 디자인을 채택하고 교복이 없는 학교도 있어 통일된 기준은 없었던 시기로 설명되고 있습니다.
일명 체육복 교복이 들어선 시기는1990년대후반대부터입니다.빈부 격차에 따른 열등감을 최소화하고 평등 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목적이었다고 전해졌습니다.또한 편하고 매우 실용적이라는 장점이 있어2020년대인 지금까지도 체육복 교복을 입는 학교들이 매우 많습니다.
또한 중국에는 매일10분 국민체조 시간이 포함되어 있어 오전2교시가 끝나고 전교생이 운동장에 모여 국민체조를 하기 때문에 체육복 교복을 고집하는 이유 중 하나로 꼽기도 했습니다.
실제로 한국 여학생들도 교복을 입고 등교를 하지만 교복이 불편해 등교하자마자 치마를 체육복 바지로 갈아입는 학생들이 매우 많습니다.다만 체육복 교복은 심미성이 조금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중국 학부모들 체육복 원해
한 언론 매체에 따르면 학부모들은 면학 분위기 조성에 도움이 된다며 체육복 교복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습니다.난징의 한 학교는 세련된 디자인의 교복을 채택하려다 이성에 대한 자극이 될 수 있다는 학부모들의 반대에 직면해 포기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중국 교육 당국은 체육복 교복이 학생들 간의 상대적 박탈감을 해소해 줄뿐더러 학생들의 허영심을 없앤다고 보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편한 교복 원해
2019년 세종시편한교복패션쇼 사진
몇 년 전가지만 해도 와이셔츠와 넥타이를 매는 정장 스타일의 교복이었는데 요즘은 공부할 때도,운동할 때도 편한 스타일의 교복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습니다.바지에는 고무줄이 들어가고 와이셔츠 대신 맨투맨 상의를 입는 학생들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예쁜 교복 원하고 있어
한국과는 달리 중국 학생들은 실용적인 체육복 교복 대신 디자인이 예쁜 한국식 교복을 원하고 있습니다.한류 열풍을 타고 한국 드라마 속 주인공들이 입었던 교복이 중국 학생들의 마음을 사로잡았기 때문입니다.
한국의 드라마 배경 대부분은 학교에서 일어나는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예를 들어 상속자들,스카이캐슬,펜트하우스 등등에서 한국 중고등학교의 교복들을 엿볼 수 있어 중국 학생들은 현재 한국 교복에 열광을 하고 있습니다.
허난 성의 실험중학교(河南省实验中学)
중국 학교들도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해 점차 한국식 교복으로 바꾸는 추세로 총칭 외국어학교는 차이나 카란 부착된 셔츠와 체크무늬 치마로 교복을 바꿨으며,허난 성의 실험중학교(河南省实验中学)역시 한국식 교복으로 바꾸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부는 교복 한류
출처 형지엘리트
형지 엘리트가 중국에서 부는 교복 한류에 힘입어 중국 시장 진출4년 만에흑자 전환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형지 엘리트의 중국 합자법인 상해 엘리트는 작년 하량 교육그룹과 약11억 원규모의 수주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었습니다.앞서 작년4월에 아이셩 국제 교육그룹과 약34억 원의수주 계약을 맺는 등 학생복 시장에서 두각을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최근 형지 엘리트의 중국 합자법인 상해 엘리트가9~11일 중국 상하이 국제엑스포 전시관에서 열린2021상해 국제 교복 박람회에 참가해 교복 디자인 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했습니다.상해 국제 교복 박람회는2013년 시작돼 올해로9회째를맞는 중국 최대 규모의 국제 교복 박람회로 교복 디자인 대회를 비롯해 각 브랜드별 패션쇼 및 홍보 부스 등을 운영했습니다.
현재 중국 교복 시장은 지난해 기준 약20조 원규모로 추정되며,연평균 약9.3%씩 성장해2025년 약34조 원에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