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무사증
입국제 폐지제주도는 2020년 2월 4일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을 방지하고자 무사증제를 폐지하였습니다.이에 마스크를 낀 채 여행용 가방을 들고 이동하거나 가족끼리 다니던 중국인 여행객은 전혀 찾아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
불과 1년 전만 해도 성산일출봉 등 유명 관광지와 대형 면세점에 밀려드는 중국인들이 줄을 이었고, 제주시 중심가에도 중국어가 넘쳐났었습니다.
2002년은 무사증 입국제가 도입된 날로, 이후에 중국인들이 많이 몰려오기도 했었습니다. 2002년에는 9만 2805명을 시작으로 2012년에는 처음으로 100만 명을 돌파하기도 했었습니다.코로나바이러스가 확산된 1년 후 제주도에서는 중국인 관광객을 상대하는 가게는 대부분 문을 닫은 상태로 기념품을 파는 한 업주는 1년 만에 세상이 이렇게 변할 줄 못했다며 중국어 소리가 매우 그리워진 상태라고 말하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지난 한해 동안 제주도를 찾은 관광객은 총 1023만 6104명으로 전년의 1528만 5397명에 비해 33.0%(504만 9293명)나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이는 제주도 관광협회가 발표하는 제주관광통계에 따른 것으로 내국인은 1002만 3337명으로 전년의 1355만 7229명에 비해 26.1% 감소한 가운데, 전체 관광객 중 무려 97.9%나 차지하고 있습니다.설문조사 결과 중국인들
제주도에 오고파제주도는 제주 연구원에 의뢰해 지난해 754명 현지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그 결과 응답자의 82.9%가 코로나19 이후 제주 방문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당 조사는 중국인이 해외여행 형태와 선호 목적지, 이유 등을 파악해 제주도 관광 정책에 활용하기 위해 실시되었습니다. 중국인들이 꼽은 제주의 매력으로는 청정한 자연환경과 한라산, 오름, 올레와 같은 트레킹 코스 등이 주로 뽑혔습니다.코로나 바이러스 여파로 매장뿐 아니라 제주도에 있는 8개 카지노 중 절반이 휴업 상태로 바뀌었습니다. 카지노 업계 전체 매출은 작년의 3분의 1토막이 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하지만 카지노는 사행 산업이란 이유로 고용유지 지원금 등 정부 지원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28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지역 경제 보고서에는 이런 내용의 제주지역 면세점 및 카지노 업종 현황 분석이 담겨있었습니다.
중국 등 외국인 관광객이 급감하면서 카지노 경영에 타격을 준 것 같습니다. 한은에 따르면 올해 제주도 카지노 매출액은 작년의 3분의 1에도 못 미칠 것으로 전망됐으며, 특히 코로나19 확산이 본격 한 3월 이후 매출액은 전년 동기의 15~20% 수준에 불과합니다.면세점의 경영난도 심각해져 갔습니다. 제주지역 면세점의 올 1~9월 소매판매액은 전년 동기보다 69.5% 감소하기도 했었습니다.
한은은 지난 6월부터 휴점한 시내 면세점 2곳이 최근 영업을 부분 재개했으나 일부 중국 대리구매인을 제외하면 고객이 거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면세점과 카지노는 지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이들 업종의 불황은 제주 경제 전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도내 카지노 사업자가 제주관광진흥 기금의 약 70%를 부담하고 있어서 카지노 매출 부진은 제주지역 관광개발 지원 사업에도 악영향이라고 덧붙이기도 했습니다.중국인 관광객 줄어
좋은 점도 있어코로나 바이러스 이전에는 밤마다 중국인 관광객과 전쟁을 벌이던 제주시 연동 연동지구대의 현재 주변의 모습은 매우 한산하다고 합니다. 식당이나 술집 등에서 중국인들의 각종 다툼과 휴대전화 분실 시고 등을 처리해야만 했었지만, 중국인 관광객이 사라지자 중국인 등 외국인 관광객 관련 각종 신고나 출동이 줄어들었다고 말했습니다.
골칫거리였던 제주 미등록 외국인도 크게 줄었다고 알려졌습니다. 무사증 입국제는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도움을 줬지만 불법체류자도 양산해 제주는 불법체류자 천국이라 불리기도 했었습니다.출처- 연합뉴스
코로나 바이러스가 본격 시작된 지난해에는 관광객 급감으로 인해 일자리를 잃은 불법체류자 3731명이 자진 출국하기도 하였습니다.
불법체류자가 줄어들자 외국인 범죄도 감소했으며, 제주 외국인 범죄는 2015년 393명에서 2017년 644명, 2019년 732명으로 상승세를 이어 왔지만 지난해 외국인 범죄는 629명으로 전년 대비 14.1% 줄어들었습니다.
'사회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 서방 국가의 인권관이 국제 인권관을 대표하지 않는다는데? (0) | 2021.03.31 |
---|---|
중국인들도 기피하는 한국 차이나타운 왜 또 만들까? (0) | 2021.03.30 |
계속되는 실패에도 중국이 전기차 배터리에 집착하는 이유는? (0) | 2021.03.29 |
코로나19로 관광객 사라진 홍콩의 대처법은 무엇일까? (0) | 2021.03.29 |
中 나체 모델 홍보? 여성 등에 아파트 도안 그려 홍보한다는데? (0) | 2021.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