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이슈

언론이 부추기는 H&M 불매운동에 중국인들이 애국주의가 된 이유

알 수 없는 사용자 2021. 3. 26. 11:24
반응형
맹목적인 애국주의
열풍이 거세지다.

미국과 중국이 지난 18,19일 양일간 알래스카 고위급 회담에서 공개 충돌한 직후 중국인들 사이에서 애국주의 열풍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가 서방 국가에 잇따라 강경 발언을 쏟아내면서 중국이 더 이상 미국에 자세를 낮추지 않겠다는 신호를 내비친 영향 때문입니다.
 
중국 온라인상에서는 다양한 애국 상품이 불티나게 판매되는 등 중국인들 사이에 중국 정부의 대미 정면 대결을 지지하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26일 텐센트와 등 중국 현지 매체에 따르면 타오바오몰 등 중국 주요 온라인 쇼핑몰에서 중국 애국주의 상품들이 대량 판매되고 있다며 인기 품목은 중국인한테 이런 수법은 먹히지 않는다.’ 등의 문구가 적힌 티셔츠와 휴대폰 케이스, 가방, 물병 등이 팔리고 있습니다.
 
심지어 휴대전화 케이스 그리고 맥주 오 바이주에도 이런 문구를 새겨 판매하고 있습니다. 한 중국 온라인 쇼핑몰을 검색해보니 중국인에 이런 수법은 통하지 않는다 시리즈 중에서 옷과 휴대전화 케이스, 스티커가 가장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중국인들의
자부심

현재 중국 젊은이들은 풍족한 삶을 살고 있어서 인지 중국이 청나라 말기 서구에 핍박받던 약소국이 아닌 미국과 맞먹는 최강국이라는 자부심이 매우 강합니다.
 
현재 그들은 미국만이 자신의 상대라는 분위기가 매우 팽배해져 미국과 함께 주요 2개국으로 중국이 올라서면서 미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이 신장, 홍콩, 대만 등 핵심 현안을 건드리면 중국은 곧바로 해당 국가 제품 불매 운동 등 강력한 보복으로 압박에 나서고 있습니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지난 23일 오늘의 중국은 120년 전의 중국이 아니다며 외국 열강들이 대포 몇 대로 중국의 대문을 열 수 있는 시대는 이미 영영 지났다며 서구 국가들에 더는 비굴한 모습을 보이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주입식 애국이라는
중국 현재 상황

김인희 박사의 중국 애국주의 홍위병, 분노 청년에서 보면 2000년대 이후 더욱 기승을 부리는 맹목적 중국 지상주의, 애국주의 현상을 집중 분석하여 주었습니다.
 
분노 청년은 1990년 중반에 등장하며 현재까지 활발하게 활동하는 중국의 인터넷 극우 청년 집단입니다. 저자는 서양의 분노 청년이 자국 내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갖고 변혁의 주체로 나서려 했다면, 중국 분노 청년은 오직 중국의 적이라고 생각되는 집단에만 분노한다고 특징짓고 있습니다.

특히 개혁개방 이후 공산당이 현대화 건설 성과와 성공 경험을 가르치면서 중국 공산당의 기본 노선을 따르도록 교육했습니다.티베트와 신장위구르 등지의 분리독립운동에 대해선 한국은 소수민족을 떠날 수 없으며, 소수민족은 한족을 떠날 수 없다고 끊임없이 강조하고 있습니다.

섣부른 민주화가 사회 분열을 가지고 올 것이며 오직 공산당의 통치만이 완전한 영토의 조국과 민족 통일, 이상적인 사회주의 국가를 실현할 수 있다고 학생들에게 끊임없지 주입시킨다고 합니다.

나이키& H&M
불매운동 부추기다

서방 세계가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인권 탄압 문제를 거론하자 중국에서 나이키와 H&M등 글로벌 브랜드 불매운동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중국 관영 언론들은 신장 인권 문제를 거론한 기업들을 나열하며 불매운동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이날 오전 중국판 트위터 웨이보 등에는 나이키 운동화 수 켤레를 불에 태우는 화형 영상이 올라왔습니다. 15초 분량의 영상에는 나이키 운동화 4켤레에 동시에 불을 붙여 태우는 장면이 담기기도 했습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 포스트에 따르면 H&M 24일 중국의 주요 온라인 쇼핑 사이트에서 검색되지 않고 있습니다. 알리바바가 소유한 타오바오를 비롯해 JD, 핀 두어 두어 등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퇴출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5일 영국 BBC 등에 따르면, 중국 공산주의청년단 등은 신장 인권탄압을 문제 삼은 전력이 있는 글로벌 브랜드 불매 운동에 나섰습니다. 지난 22일 미국과 유럽연합, 영국, 캐나다 등이 신장의 인권탄압을 이유로 중국에 대한 제재를 발표한 데 대한 보복성 조치로 보고 있습니다.
 
이 같은 여론에 나이키와 H&M의 모델들이었던 중국 스타들은 이들과의 모든 협력을 중단한다고 밝혀 논란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