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에서 20~30대 젊은 층 탈모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탈모 방지 제품 관련 시장에 적극 진출해야 한다는 주장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무역협회 청두 지부가 22일 발간한 ‘중국 탈모산업의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인이 가장 걱정하는 건강 문제 7위로 ‘탈모’가 오르기도 했습니다.
지난 2019년 기준 중국의 탈모 인구는 약 2억 5,000만 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80년 대생이 38.5%, 90년 대생이 36.1%로 20~30대 젊은 층이 전체 탈모 인구의 약 75%를 차지하기도 하였습니다. 모발 이식 수술도 90년 대생이 전체 수술 환자의 57.4%로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청소년들 사이 탈모 역시 큰 고민또한 최근 청소년들의 고민거리가 늘어나면서, 뜻밖의 탈모를 겪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중국 건강 추진 위원회와 교육 협회가 함께 발표한 중국 탈모 인구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젊은 층이 20세를 넘기면서 머리가 빠지기 시작하고, 이는 1세대보다 20년가량 더 빨리 보이는 현상으로 꼽히기도 하였습니다.
자신의 머리카락을 보호하기 위해 탈모로 고통받는 젊은 세대는 요즘 모발 이식과 탈모방지 헤어 케어 용품에 막대한 돈을 들이기도 하고 있습니다.모발 이식 전
이러한 현상 때문에 작년 2020년 한국 탈모방지 화장품을 수입하는 규모가 최근 3년 새 60%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수입국 가운데 한국의 비중은 14.5%로, 작년 기준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일본에 이어 2위를 차지하기도 하였습니다.모발 이식 후
대부분 유전적인 영향이 컸던 과거와는 달리 최근에는 과중한 스트레스, 불규칙한 생활습관, 식습관 변화에 따른 호르몬 분비 이상 등 후천적 영향이 크게 작용하면서 탈모인이 더 많아졌지만, 그중 상하이와 베이징 쪽에서 근무를 하고 있는 젊은이들에게 탈모 증상이 많이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탈모 방지 기능품 관심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상품들에 대한 관심이 요즘 들어 증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샴푸 성분에 관심을 갖는 중국 소비자가 증가하였고, 탈모 질환자의 연령층이 낮아지면서 탈모 예방을 위한 세럼, 앰풀, 두피 클렌저 등 관련 제품이 다양해지고 있었습니다.
특히 중국 자체 브랜드보다는 아직까지도 외국 브랜드 이 젊은 소비자 사이에서 높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또한 이런 젊은이들의 관심 덕분인지 중국 내 인터넷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온라인 쇼핑몰이 탈모방지 화장품의 주요 유통 플랫폼으로 부상되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 상반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영향으로 비접촉, 비대면 라이프가 확산되면서 온라인을 통한 탈모방지 샴푸들이 매출에 매우 큰 영향을 주는 추세이기도 합니다.탈모 시작/ 치료중/ 치료후
중국인들은 탈모방지 샴푸들뿐만 아니라 물리치료 보조기 가발 등등 식이요법을 사용하며 탈모를 없애기 위해 갖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가발 모발이식 시장 덩달아 급성장모발이식 시장 역시 2016년 이후 매년 38.3%씩 성장해 지난해 208억 3천만 위안에 이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김희영 무역협회 부장은 중국 탈모 인구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90년 대생은 외모에 대한 관심이 커 효능이 뛰어나다면 기꺼이 돈을 지출하는 가장 큰 소비자 군이라고 성명하기도 했습니다.이어 현재 중국 가발의 86%가 중소기업의 중저가 패션가발인 점을 고려해 향후 고객 맞춤형 가발 부분형 가발, 1 대 1 고객 관리, 세밀한 애프터서비스 등 다양한 제품군과 서비스로 중국 진출을 노려볼만하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요즘 중국인들 역시 미에 관한 기준이 매우 뚜렷한 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머리카락’은 그들에게도 매우 중요합니다.실제로 ‘틱톡’에서 머릿발이 얼마나 중요하나에 대한 동영상들이 자주 올라오면서 ‘모발 이식’ ‘가발’ ‘머리카락 문신’ 등등이 다양한 키워드로 떠오르기도 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후유증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걸렸다가 회복된 국내 환자의 43%가 피로감을 호소하고 35%는 운동 시 호흡곤란을, 23%는 탈모 증상을 보였습니다.
이렇게 코로나바이러스 후유증으로 탈모 증상도 나타나고 있다고 합니다. 이렇듯 2030세대들은 외모에 대한 관심이 큰 세대임에 따라, 효능이 뛰어나다면 매우 큰돈이라도 거리낌 없이 돈을 지출하는 가장 큰 소비자 군으로 보고 있습니다.
'사회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시아 최초 동성혼 허가한 나라는 어디?(+동성애에 관대한 이유) (0) | 2021.02.24 |
---|---|
코로나에도 불구하고 중국 항공업계 안정적인 이유는? (0) | 2021.02.23 |
국대 학교폭력 기사에 중국인들 반응은 어떨까?(+박상하 이다영 이재영 쑨양) (0) | 2021.02.23 |
중국이 자동차 판매량 세계 1위를 할 수밖에 없는 이유 (0) | 2021.02.23 |
현재 중국에서 존재한다는 납치혼(+충격적인 결혼 관습) (0) | 2021.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