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이슈

중국이 자동차 판매량 세계 1위를 할 수밖에 없는 이유

알 수 없는 사용자 2021. 2. 23. 10:31
반응형
코로나바이러스 때문에 세계 각 곳이 많이 힘들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유일하게 큰 타격 없는 나라는 바로 ‘중국’이 아닐까 싶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가 점차 풀리면서 명품 쇼핑, 춘절(중국 명절), 등등에서 중국인들의 엄청난 소비습관이 한몫했을 것 같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자동차 판매량 역시 세계 1위 자리를 유지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중국 국제라디오에 따르면 지난해 코로도 바이러스 대유행으로 전 세계 자동차 시장이 급락한 가운데 중국은 2천631만 1천 대를 팔아 세계 1위 판매량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전 세계 자동차 판매량이 전년 동기보다 13% 감소하였지만, 현재 중국은 전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점유율 32%나 되었다고 합니다.

2025년 친환경 자동차로 교체

또한 중국 정부가 2025년 판매되는 신차 10대 중 6대를 친환경 자동차로 교체하겠다는 로드맵을 밝히면서 중국 본토가 전기시장의 최대 격전지로 떠오르고 있기도 합니다.

마침 유럽 차 제조사뿐 아니라 조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 자동차 기업들도 앞다퉈 전기차 강화 전략을 발표하고 있어 미국 유럽 중국 기업의 선점 경쟁이 치열할 전망도 나타내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가 정말 10대 중 6대를 전기차로 바꾼다면, 중국 신차 시장 규모는 점점 커질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 궈타이쥐안증권이 최근 추정한 2025년 중국 신차 시장 규모는 약 2681만대로 중국 정부의 친환경차 로드맵을 기준으로 할 때 5년 뒤 1600만 대의 친환경차 시장이 열리는 것입니다.

순수 전기차 비중은 530만 대(신차 판매의 20% 수준)가 될 전망이고 2035년이면 중국의 전기차 시장 규모는 1500만 대(신차 판매의 50%)가 넘을 것으로 추산됩니다.

미국 중국 전기차 시장 견제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 첫날 파리기후협약 재가입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미국 자동차 업계는 전기차 사업 계획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미국 최대 자동차 기업 중 하나인 포드사는 2025년까지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개발에 총 290억 달러(약 32 6000억 원)을 투자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기도 했습니다.

또한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 연방정부 관용차를 모두 전기차로 교체하고 전기차 보조금을 강화하겠다고 밝히는 등 저기 차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고 합니다.

이와 같이 중국에 잠식당한 전기차 분야를 다시 되찾아오기 위한 전력이 담겨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베트남 사람들도 선호하는 중국 자동차

중국 자동차 브랜드는 중국 제품을 선호했던 적이 없었던 베트남에서 2020년에 자동차가 잘 팔리기 시작하였습니다.

실제로 베트남 자동차 딜러들은 중국 모델 beijing x7 vriliance v7 이의 공급이 부족하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현재 2021년 초부터는 모델들이 늦게 도착하자 자동차를 구매하려는 사람들은 끊임없이 기다려야 하기도 했습니다.

중국 자동차 한국 상륙

또한 최근 중국 제일 자동차 그룹은 자사 프리미엄 브랜드인 훙치의 H9 모델 2대를 한국에 수출하기도 하였습니다.
 
이 모델들은 가성비 좋은 가격대와 롤스보이스를 연상시키는 디자인으로 많은 주목을 받기도 하였습니다. 한국에서도 역시 많은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였던 모델이기도 합니다.

훙치 역시 자동차 생산량과 판매량 모두에서 20만 대를 돌파하는 신기록을 세우면서 코로나 바이러스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물론 한국 소비자들의 반응 역시 매우 달랐습니다. 아름다운 외관과 가성비에 관심을 보이는 소비자도 있었지만, 중국 자동차에 대한 불신과 짝퉁 이미지에 대한 반감을 표출하는 경우도 매우 많았습니다.

국내 시장에 정식 출시됐을 때 판매량이 어떻게 될지 어떤 소비자 반응을 불러올지 매우 궁금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코로나바이러스에도 불구하고 2019년 중국 자동차 브랜드는 베트남에서도 꾸준한 판매로 판매량이 증가하기도 하였습니다.

중국 자동차가 자동차 시장에서 판매량이 증가한 이유는 아마도 저렴한 가격과 많은 첨단 기술을 갖추고 있으며, 디자인도 세련되어 많은 베트남인들이 중국 자동차를 선택했다고 알려줍니다.

중국 자동차 공업 협회는 중국 내 적극적인 코로나19방역과 강제의 급속한 회복에 힘입어 중국의 자동차 판매 성적이 훌륭했다면서 자동차 수출도 지난해 9월부터 회복세를 보이더니 11월과 2월에는 최고치를 기록하였다고 밝히기도 하였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