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나라에서 활동하고 있는 의외의 외국 국적 출신 연예인들은 몇 명이나 될까요?
놀랍게도 연예인들 중 미국 출신 연예인이 거의 80%에 육박한다고 하는데요.
한창 국내에 '아메리칸 드림'의 열풍이 불 때 이들은
어린나이에 부모를 따라서 미국으로 건너갔거나 아예 그 곳에서 출생하였다고 합니다.
안효섭
출생
1995년 4월 17일 (25세)
서울특별시
배우
국적
캐나다
활동 기간
2015년 ~ 현재
학력
국민대학교 국제비지니스
형제자매
2남 1녀 중 막내
배우 안효섭은 《낭만닥터 김사부 2》를 통해 주연배우로 자리매김했죠.
배우 안효섭은 어릴 적 가족이 캐나다 토론토로 이민을 갔다가 꿈을 위해 홀로 한국에 돌아왔다고 합니다.
가족관계로는 부모님, 형(1989년생), 누나(1991년생)가 있습니다.
캐나다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중학교 졸업 후 고등학교 1학년 과정을 마쳤지만 또래 친구들과 학교를 다니고 싶은 마음에 한국에서 청담고등학교 1학년으로 다시 입학하여, 대학교 진학 후 지금의 소속사인 스타하우스 엔터테인먼트와 인연이 닿아 어릴적부터 막연하게 꿈꿔온 연기자로의 매니지먼트 계약을 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현재 국민대학교에서 국제비즈니스학(KMU International Business School)을 전공했으며, 오랜 캐나다 생활 덕분에 영어에 능통하며 다룰 수 있는 악기로는 바이올린, 피아노, 기타를 다룰 수 있다고 하네요.
2015년 tvN 《언제나 칸타레 시즌2》으로 얼굴을 알리면서 MBC 웹드라마 《퐁당퐁당 Love》로 연기자로 데뷔하였다고 합니다. 사극을 찍을 당시에 어릴적부터 해외에 있었기 때문에 한자어를 몰라 일일이 사전을 찾아 봤다고 하는데요. 캐나다에서 써 온 한국어로 굴러가는 말투를 고치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해서 실제 안효섭을 본 사람들은 해외에 있었는지 잘 모른다고 전하며 학창시절을 외국에서 보냈기 때문에 선후배 관계 등 사회에 나왔을 때 실수할 까 모든 것이 조심스러웠다고 한고 알려졌습니다.
정려원
Yoana Jung (요아나 정)
가수, 배우
출생
1981년 1월 21일 (40세)
서울특별시 노원구
거주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국적
호주
신체
166cm, 45kg, B형
가족
부모님, 1남 2녀 중 둘째
학력
로버트슨 주립 초등학교 (졸업)
맥그리거 주립 고등학교 (졸업)
그리피스 대학교 국제경영학 (졸업)
2000년 2월 걸그룹 샤크라로 '려원'이라는 이름으로 데뷔했으며, 호주의 그리피스 대학교에 다니던 중 고려대학교에 교환 학생으로 왔다가 오락실에서 펌프를 하던 중 이상민에게 우연히 길거리에서 캐스팅됐다고 합니다. 연습생 기간없이 바로 가수로 데뷔했다고 하는데요. 정려원의 부모님조차도 TV를 보고 딸이 가수가 된 것을 알았다고 합니다.
그룹 가수 샤크라를 탈퇴한 후 연기자 전향을 선언했었죠. 이후 본명을 내걸고 본격적인 연기자 생활을 시작하게 되면서, 여배우 윤은혜와 함께 1세대 여자 아이돌 중 연기로 인정받는 배우로 성공해 자리를 잡은 케이스이라고 합니다. 연기자로 전향한 후 처음부터 주연을 맡지 않고, 단편 드라마 및 시트콤의 조연 등으로 차근차근 연기력을 쌓아 나갔는데요.
시트콤 "안녕, 프란체스카"와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에 출연하면서 연기력을 인정받고, 전국의 여성들에게 "려원 스타일" 신드롬을 일으키게 되었죠. 이 드라마를 통해 걸그룹 출신 연예인에서 배우로 발돋움하면서 점차 연기 반경을 넓히게 되었습니다.
정려원은 영화 "두 얼굴의 여친"으로 배우 봉태규와 함께 출연한 첫 영화 주연을 맡으면서 가수 출신이라는 편견으로 영화 자체는 흥행에 실패했으나, 막상 스크린에서 내린 후에는 상당한 팬을 얻었다고 합니다. 영화에서 보이쉬한 모습으로 연기하여,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을 받으며 배우로서의 가능성을 보여 주면서 또한, 패셔니스타로 인지도를 높여주긴 했으나, 영화배우로서는 큰 효과를 주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그녀는 호주 시민권자로, 잠재적으로 뉴질랜드 영주권을 보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최우식
배우
출생
1990년 3월 26일 (30세)
서울특별시
국적
대한민국, 캐나다
키
181cm
형제
최규식
학력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사이몬 프레이저 대학
파인트리 고등학교
배우 최우식은 형제로는 형이 한 명 있는데, 초등학생이던 12세 때 가족들이 캐나다로 이민을 가게 되면서, 학창 시절을 브리티시 컬럼비아에서 보냈다고 합니다. 현지 고등학교인 파인트리 세컨더리 스쿨을 졸업한 후,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교에 진학하여 무대 연출 전공을 했다고 하는데요. 캐나다에서는 10년여간 거주한 영향으로 영어에 능통하고, 2011년 그는 대학교 3학년 때 우연한 기회로 온라인 오디션을 통해 한국에 다시 오게 되게 되면서 배우로 데뷔하게 되었고, 중앙대학교 아시아문화학을 전공했다고 하네요.
한채영
본명
김지영 (Rachel Kim)
배우
출생
1980년 9월 13일 (40세)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국적
미국
활동 기간
2000년 ~
데뷔작
가을동화
학력
동국대학교 연극영화과
배우자
최동준(2007년 결혼 ~ )
가족
1남(2013년 ~ )
배우 한채영은 연기뿐 아니라 예능에서까지 활동하면서 인지도를 높였었습니다.
그녀 역시 어린 나이인 중학생 때 가족들을 따라 미국에 이민을 갔다고 합니다.
미국에서 고등학교를 졸업 후 친구들과 놀러 온 한국의 카페에서
우연히 전유성을 만나, 그 인연을 통해 데뷔하게 되었다고 하는데요.
바비인형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는 미모의 그녀는,
2007년 미국 유학생활 때 친구들과의 모임에서 처음 알게 된
4살 연상의 사업가 최동준과 결혼하였고, 2013년 8월 30일 첫 아들을 출산했다고 합니다.
마동석
본명
이동석 (Lee Dong-seok)
배우
출생
1971년 3월 1일 (49세)
국적
미국
키
178cm
활동 기간
2003년~
소속사
빅펀치이엔티
배우 마동석은 한국계 미국인 배우로, 영미권에서 돈 리(Don Lee)라는 영어 이름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는, 19세이던 1989년 가족 모두가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고 하는데요.
마동석은 미국에서 Columbus State Community College에서 Sports & Fitness Management을 전공하였으며
1994년 미국에서 뮤지컬 배우로 데뷔하여, 이후 보디빌더와
헬스 트레이너로 활동하면서 입지를 쌓았고,
이종격투기 선수 마크 콜먼, 케빈 랜들맨의 개인 트레이닝을 담당한 것으로 유명하죠.
이후 다시 한국에 돌아와 2004년 영화 《바람의 전설》로 배우로 데뷔하였습니다. 영화 《천군》, 《이웃사람》,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 《범죄도시》 등의 작품으로 활발한 액션 배우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9년에는 마블 스튜디오 제작 영화 《이터널스》로 할리우드에 진출했으며, 역은 길가메시라고 합니다.
또한 마동석은 전 국가대표 스트랭스 코치 예정화와
열애를 공식적으로 인정하여 두 사람은 같은 소속사 식구로서 친분을 맺었고,
이후 운동이라는 공통 관심사를 통해 연인으로 발전한 것으로 알려졌었는데요.
앞서 예정화는 방송을 통해 마동석을 이상형으로 꼽아왔다고 합니다.
예정화가 88년생, 마동석이 71년생으로 17살 차이지만
나이 차이를 극복하고 사랑을 키워나가고 있어 이슈가 되었죠.
그 외 외국 국적을 가진 배우는 아니지만, 의외의 긴 타지의 유학생활을 했던 여배우도 있습니다.
드라마 '도깨비'의 주인공 역할로 여고생 이미지를 잘 소화해 냈던,
유명 연예인 신하균과 스캔들도 함께 이슈가 되었던
실력파 연기로 유명한, 여배우 김고은인데요.
김고은
여배우
1991년 7월 2일 (29세),
서울특별시
키
167cm
김고은은 서울에서 태어나 아버지의 직장 때문에 4살 때부터 중국 베이징 시내에서 10년을 살았고,
그 중에 5년은 베이징 북서부 미윈현에서 지냈다고 합니다.
그녀는 중국에서 총 10년간 생활하고 중학교 1학년 때 가족이 다 함께 한국으로 귀국했다고 하는데요.
중국 시골에는 한국학교 혹은 국제학교가 없기 때문에 현지 중국학교를 다녔다고 합니다.
그 당시 동네나 학교에 외국인은 오직 김고은의 가족들 뿐이었다고 알려졌는데요.
이때의 영향으로 중국어가 매우 능숙하며 문화나 정서에도 익숙하다고 합니다.
김고은은 공식 행사 스케줄로 중국을 방문하게 되면 본인에게는 중국이나 홍콩이 낯설지 않다고 말하면서 친근감을 표현하며 어린 시절 중국의 시골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며 지냈던 시간이 연기 생활과 가치관 형성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하네요.